다운로드해서 실행해볼 서버
- apache kafka
- zookeeper
zookeeper란?
분산 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
하나의 컴퓨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 요즘은 여러 컴퓨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돌리는 경우가 생김
온라인 쇼핑몰의 MSA (Micro Service Architecture) 같은 경우
- 컴퓨터1 - 결제 로직 어플리케이션
- 컴퓨터2 - 상품 관리 로직 어플리케이션
- 컴퓨터3 - 회원 관련 로직 어플리케이션
이렇게 하나의 서비스에 들어가는 기능들을 다른 컴퓨터에 micro service 단위로 분리해 놓은 것이다.
분산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이 공유 자원에 대해 서로 조율이 잘되어야 하는데
이러한 조율을 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이 zookeeper
(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 로직 하는데에도 바쁜데 어플리케이션들을 코디네이팅 하는 코드까지 짜려니 힘들어서 이러한 코디네이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나왔댄다)
역할
- 어플리케이션들이 공유하고 있는 자원 (클러스터)에 대한 write 관리
- 어플리케이션들이 공유하고 있는 자원 (클러스터)에 대한 race condition 관리
- 설정 정보 관리 (configuration)
등등 여러가지가 있어보이지만 난 초심자이기 떄문에 여기까지..!
나중에 zookeeper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북마크에 추가해놨다
1. apache kafka 다운 받기
wget을 통해 다운받을 수 있다
https://kafka.apache.org/quickstart
Apache Kafka
Apache Kafka: A Distributed Streaming Platform.
kafka.apache.org
2. apache kafka 설정
설정 파일을 열어서 아래 부분을 주석 해제해준다
/config/zookeeper.properties
나는 내 컴퓨터에서 kafka를 실행시킬 것이기 때문에 ip부분에 localhost라고 표기
추후 만약 다른 서버의 data를 kafka가 받게 하려면 해당 서버의 ip를 쓰면 됨
3. config 적용하여 zookeeper 실행
(zookeeper.properties는 수정할 것이 없다)
2181 port를 가지고 프로세스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
4. config 적용하여 kafka 실행
kafka는 port번호를 9092를 가지고 있다
모두 java8이 설치되어있어야 한다고 한다!
'백엔드 개발 이모저모 > kafka by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2. Kafka/ZooKeeper GUI - CMAK 사용해보기 (0) | 2022.01.22 |
---|